|
『북녘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선인출판사) 글/ 사진 : 민족21 |
|
1년 동안 자체 월간지인 <민족21>에 연재한 내용을 뼈대로 이 책을 엮어낸 [민족21]은 "북녘 사회 보통 사람들의 살아가는 이야기를 만나보십시오."로 시작하는 책의 머리말에서 북녘의 보통 사람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있는 그대로` 들여다보자고 권한다. 가장 완벽한 ‘북녘 인민 생활사’는 직접 만나 눈으로, 가슴으로 느끼는 것 아닐까. 그 날을 기대하며 기획 연재 한다. |
|
|
|
|
|
전교조 소속 교사 120명을 포함한 130명의 방북단이 2003년 7월 29일부터 4박 5일간 북의 여러 교육관련 시설을 돌아봤다. 전교조 차원의 대규모 첫 방북행사에 참여한 현직 교사로부터 현장의 생생한 체험과 느낌을 들어본다.
글 ▶ 박미자 / 인천 산곡중학교 교사, 전교조 통일위원장 |
|
미선이 효순이 혼백 머무는 모란봉제1중학교 |
|
|
남쪽의 교사가 모란봉제1중학교 학생과 직접 탁구를 쳐 보고 있다.(위) 모란봉 제1중학교에 마련되어 있는 미선, 효순이의 자리(아래) | 우리는 5학년 9반 교실을 방문하였는데, 교실 뒤 칠판에는 "조선을 위하여 배우자"라는 구호가 있었다. 충성, 효성, 학습, 조직생활, 좋은 일하기, 새 소식 등의 란이 있었으며, 해당영역에서 우수한 학생을 소개하고 칭찬하는 내용이 있었다. 교실의 복도에는 성적순위가 공개돼 있었는데, 등수를 매긴 것은 아니었고, 과목별로 5점을 만점으로 하여 소수점 2자리까지 번호와 이름별로 점수를 공개했다. 중학교에서는 남측에서와 마찬가지로 국어, 수학, 외국어 등 다양한 교과목을 공부하는데, 현행 6년간 당정책, 혁명역사, 공산주의 도덕을 배운다. 최근에는 심리학과 논리학을 신설하고 컴퓨터교육을 강화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는 5학년 교실을 견학했는데, 그 옆은 3학년 교실이었다. 한 학년을 같은 층에 배치하지 않고 섞어서 배치하는 이유를 물으니, "낮은 학년과 높은 학년이 같은 층으로 합쳐서 교실을 배치하면 낮은 학년학생들이 선배들에게 물어보기도 하고 좋겠다는 생각에서입니다. 뭐 정해진 것은 아니고 학교별로 알아서 합니다"라고 답변을 한다. 5학년 학생들의 교실에서는 고 심미선 신효순 학생을 명예학생으로 정하고, 두 번째 줄 두 번째 분단에 미선이와 효순이의 자리를 마련해두고 공부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견학을 마치고 강당에서 또한 우리를 위한 학생들의 작은 공연이 있었다. 공연을 마친 학생들은 우리들과 사진도 찍고 이야기도 나누면서 함께 운동장으로 나왔다. 남측 교사의 수첩에 또박또박 자신의 이름을 써주는 학생도 있었다. 공연을 마친 5학년 여학생과 손을 잡고 운동장을 걸으면서 물었다.
"오후에 소조활동을 할 때, 주로 같은 학년의 학생들과 함께 활동하나요?" "아닙니다. 소조 내용별로 어린 후배들과 선배들이 함께 활동하고 배웁니다. 어린 동생들이 열심히 배우면 아주 귀엽습니다" 정답게 대답하며 웃는다. 운동장에는 학생들이 가득 모여서 "안녕히 가십시오", "또 오십시오" 하면서 전송했다.
|
남쪽의 교사들이 모란봉 제1중학교 학생들과 작별인사를 하고 있다. | 학생과의 만남은 늘 교사들을 들뜨게도 하고 안타깝게도 하고, 그리고 교육에 대한 많은 책임감을 되돌아보게 한다. 통일된 땅에서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하면서 남과 북의 교사들과 아이들이 함께 <우리는 하나> 노래를 불렀다. 우리 모두의 눈에는 가득가득 눈물이 고였다. 북측에서는 만6세에 소학교에 입학하고 만9세에 소학교를 졸업한다. 만10세에 중학교를 입학하여 만15세에 중학교를 졸업하며, 만16세(집나이로 17세)에는 대학생이 된다. 대학에 가는 과정은 첫째로, 중학교 졸업 후에 곧바로 진학하는 경우를 직통 대학생이라 하는데, 전체 대학생의 30%정도라고 한다. 환영만찬에서 만난 교육문화 직맹의 한 간부와 양각도호텔의 47층 식당에서 만난 젊은 여성접대원동무가 그런 경우였다. 두 번째 경우는 중학교 졸업 후에 군대에 자원 입대한 뒤에 3년의 군대생활을 마치고 대학에 진학하는 경우다. 우리가 탄 버스에서 안내 책임을 맡은 안내원 선생이 이런 경우였다. 중학교 졸업 후에 군대를 마치고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한 뒤 교육문화 직업동맹에서 일하고 있다고 한다. 세 번째 경우는 중학교 졸업 후에 일터로 취업했다가 군에 입대해 군대생활을 마치고 대학에 진학하는 경우가 있다. 우리와 동행해 사진촬영을 주로 담당했던 기자 선생은 중학교 졸업 후에 인쇄공으로 3년을 일하고 군대생활 3년 후에 대학에서 영화촬영 공부를 5년간 했으며, 현재 촬영기자로 일하고 있다고 한다. 대학에는 제대군인이나 직장인 출신의 대학생을 위해 1년 동안의 예비과정을 설치한 경우가 많아서 보통 대학은 3년~7년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