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녘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선인출판사) 글/ 사진 : 민족21 |
|
1년 동안 자체 월간지인 <민족21>에 연재한 내용을 뼈대로 이 책을 엮어낸 [민족21]은 "북녘 사회 보통 사람들의 살아가는 이야기를 만나보십시오."로 시작하는 책의 머리말에서 북녘의 보통 사람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있는 그대로` 들여다보자고 권한다. 가장 완벽한 ‘북녘 인민 생활사’는 직접 만나 눈으로, 가슴으로 느끼는 것 아닐까. 그 날을 기대하며 기획 연재 한다. |
|
|
|
|
|
전교조 소속 교사 120명을 포함한 130명의 방북단이 2003년 7월 29일부터 4박 5일간 북의 여러 교육관련 시설을 돌아봤다. 전교조 차원의 대규모 첫 방북행사에 참여한 현직 교사로부터 현장의 생생한 체험과 느낌을 들어본다.
글 ▶ 박미자 / 인천 산곡중학교 교사, 전교조 통일위원장 |
|
숙영, 현장체험학습 중인 대학생들 |
|
|
비오는 날의 김일성종합대학 정문 모습(위) 아래는 인민대학습당 내부 전경 | 이 세 가지 경로의 대학생들은 모두 대학 졸업을 하고 난 뒤에는 곧바로 직장을 배치 받는 것이 아니라, 3대혁명소조활동이라 하여 약 3년여 동안 집을 완전히 떠나서 노동현장이나 농촌현장에서 노동자 농민들의 노력과 성과에 대해 배우기 위해 인민 속으로 들어간다고 한다. 사무직이나 전문직을 담당하는 사람들이 일주일에 한번 금요일마다 노동현장에서 일한다는 금요노동제는 알고 있었지만 대학 졸업 후의 소조활동에 대해서는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었다. 우리 중 한 사람이 질문을 하였다.
"대학시절 공부했던 전공과목과 다른 일을 하는 현장에 배치되는 경우는 없나요?" "물론 있습니다. 과학이나 기술분야를 공부한 사람이 닭공장에 배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면, 불만이 있지 않나요?" "불만이 있어도 참아야지요. 그리고 열심히 일하고 배우고 나면 전공을 두 개 한 꼴이니, 멀리 보면 도움이 됩니다."
우리가 잠시 대화에 대한 적응시간을 갖는 사이에 안내 선생은 "대학생이 되면 농촌 봉사 활동은 해마다 일정기간을 체험학습하고, 18일 동안 백두산을 걸어서 오르면서 혁명역사를 몸으로 체험하는 백두산 숙영과정도 거치게 된다"고 덧붙여서 설명을 해준다. 김일성종합대학교는 예비과정 1년에 인문사회과학분야는 5년, 자연과학분야는 6년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김일성종합대학은 3개 대학, 13개 학부, 9개 연구소, 200여 개 학과로 구성되어 있고, 1만 2000명의 학생이 등록돼 있다고 한다. 교직원은 5500여 명이며, 전문적인 교원연구사가 2700여 명 일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는 김일성종합대학의 혁명사적관을 견학했다. 이층으로 된 이 건물은 책의 모양을 형상화한 건물이라 한다. 2층 둘레를 벼이삭 모양으로 장식했다. 이러한 장식은 농민들이 해방 후 첫 수확을 김일성종합대학을 짓는 애국미로 내놓았던 역사적 사실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넓은 대학교 교정에는 학생들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안내원선생은 지금 대학이 방학 중이며 대부분의 학생들은 숙영을 떠났거나 현장체험학습 중이라고 대답했다.
|
지난 10월 평양참관시 인민대학습당을 찾은 남쪽 참관단에게 북쪽 대학생이 듣고 있던 음악을 들려주고 있다. | 이어진 인민대학습당 견학을 끝으로 4박 5일간의 일정은 마무리되고 있었다. 남측 교원들과 안내원 선생들은 흐르는 대동강물을 함께 바라보면서 교육시설 견학의 마지막 일정을 아쉬워했다. 우리가 견학한 교육시설들에는 후대교육을 위한 국가적인 배려와 정성이 담겨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교육시설을 안내하는 선생들마다 어린 학생들의 교육을 위해서는 최선의 노력과 지원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교원들의 자부심과 통일에 대한 열정은 대단하였다. 환영모임이나 상봉모임에서 만난 사람들은 모두들 6?15공동선언 실현과 민족공조, 조국통일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마다 열정적으로 눈을 빛내면서 눈물을 그렁그렁 쏟아내곤 했다. 우리 또한 북측의 교원들과 어린 학생들을 만나면서 남북의 아이들이 통일된 나라에서 평화롭게 살기를 바라는 절실한 마음으로 눈시울이 젖어들곤 했었다. 그렇다. 백두산을 오르고, 평양의 교육시설을 견학하면서 다시 한번 마음속에 새기게 되는 것은 이 시대를 사는 교사로서 우리 아이들에게 통일세상을 물려주어야 한다는 책임감이었다. 그리고 어쩌면 통일이란 이렇게 가슴 벅차고 기쁜 만남일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한 놀라운 경험이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