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북녘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선인출판사) 글/ 사진 : 민족21 |
|
1년 동안 자체 월간지인 <민족21>에 연재한 내용을 뼈대로 이 책을 엮어낸 [민족21]은 "북녘 사회 보통 사람들의 살아가는 이야기를 만나보십시오."로 시작하는 책의 머리말에서 북녘의 보통 사람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있는 그대로` 들여다보자고 권한다. 가장 완벽한 ‘북녘 인민 생활사’는 직접 만나 눈으로, 가슴으로 느끼는 것 아닐까. 그 날을 기대하며 기획 연재 한다. |
|
|
|
|
|
|
북의 군인들이 전쟁노병의 경험담을 듣고 있다. | 북의 군대는 과거 원칙적으로 군입대를 자원하는 초모병제였다. 하지만 실제로는 대학 진학이나 신체검사 불합격자 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중학교 졸업 후 군대에 들어가 5~10년씩 군대생활을 했다. 특히 2003년부터는 `전인복무제`를 채택해 징병제로 바뀌었다. 북의 남성들 대부분이 경험하는 군대생활을 조금이나마 들여다보자.
이제 22일 남았다. 22일 후면 제대다. 두달 전 제대 통보를 받고 난 후로는 하루가 어쩌면 그렇게도 길던지... 꼭 하루가 일년 같았다. 그러고 보면 시간은 참 빠르다. 중학교 졸업하고 바로 군대에 들어온지 벌써 10년이 지나 제대를 얼마 앞두고 있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 이제 제대를 하고 나면 사회에 나가 직장도 잡고 사회생활에 뛰어들게 될 텐데 `잘 할 수 있을까` 고민도 된다. 중학교 졸업하고 군대에 들어올 때는 별 고민이 없었는데. 사실 나는 대학 진학할 생각이 없었기에 `자연스럽게` 신체검사를 받고 군대에 들어왔다. 사실 북의 남자들은 누구나 `조국 보위의 초소`에 서려 한다. 군대를 기피하면 사회적으로 잘 인정해주지 않을뿐더러 군대에 다녀오는 것이 이후 입당이나 직장 배치, 대학진학에도 전망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개 중학교를 졸업한 남학생의 70% 이상이 군대에 간다. 여학생들 중에도 10% 정도는 군대를 선택한다. |
|
전사로 입대해 상등병이나 하사관으로 제대 |
군대에 있는 동안은 기본적으로 하루 600g 씩의 식량을 배급받는다. 부대의 일용품은 부대에서 제공하게 되어 있는데 담배는 10곽씩 배급되고 군복은 1년에 2벌씩 배급을 준다. 담배 등 초과 부분은 자기가 알아서 사서 써야 한다. 급여를 받기는 하지만 나같은 일반 전사와 하사관들의 급여는 많지 않아 군대 생활에 필요한 생필품을 겨우 구입할 수 있는 정도이다. 그러나 사실 군대 내에서는 돈 쓸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별 지장은 느끼지 못했다. 나는 하사관 교육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 상등병으로 제대하게 된다. 보통 처음에 군대에 입대하면 전사로 시작한다. 인민군은 군관과 하전사를 진급시킬 때 직무계급제도와 최저복무기간제도를 적용하고 있다. 직무계급제도란 진급대상자를 사전에 상위직에 보직시킨 후 수개월간 근무상태를 관찰하고 성적이 양호하다고 인정될 때에만 진급 추천을 하는 제도이다. 그래서 군관의 진급은 제대, 인사이동 등으로 편제상 상위에 공석이 생겼을 때 적임자를 선정하여 일차 공석 중인 직무에 승직시키고, 지휘계통으로 진급 추천하면 최종적으로 인민무력부 간부국에서 서류를 심사한 후 총정치국의 동의를 얻어 인민무력부장 명령으로 진급발령이 내려온다. 최저복무기간은 계급별로 다른데 소위에서 중위로, 중위에서 상위로, 상위에서 대위로 진급하려면 최저 2년씩을 복무해야 하며 대위에서 소좌로 진급하려면 최저 3년, 소좌에서 중좌로 진급하려면 최저 4년을 복무해야 하는 식이다. 하사관과 전사의 진급은 규정상 6개월에 1계급씩 승진하도록 되어 있다. 전사의 경우 상등병으로의 진급은 입대 후 6개월 이상 근무한 자로서 근무에 충실한 자를 중대장이 추천하면 연대 대열과에서 해당 중대 계급별 구성을 고려하여 연대장의 명령으로 진급발령이 내려온다. 직무계급제 규정에서 탈락된 전사들도 최저복무기간제 병용으로 1년 6개월 내지 2년만 되면 자동적으로 진급이 된다.
|
주체탑 앞 광장을 지나가고 있는 북의 여군들. | 하사관의 경우는 하사와 중사 이상이 구분되는데 하사는 소대군관회의에서, 중사 이상은 중대군관회의에서 심사한다. 그런데 상등병에서 하사로 진급하는 경우는 소정의 하사관교육을 받아야 한다. 즉 하사로 진급할 사람을 선발해 사관을 양성시키는 교육단위에서 3개월, 혹은 6개월간 분대장교육을 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어떤 사람은 제대할 때 하사를 달고, 어떤 사람들은 나처럼 상병 달고 제대한다. 이렇게 정리해놓고 보니 참 지난 10년이 순식간에 지나간 것처럼 느껴진다. 앞으로 사회에 나가 적응할 일이 더 두렵게 느껴지기도 하고. 아마 그래서 다들 제대 3~6개월 전 사단 대열과에서 제대 통보를 받고 나면 `제대병`을 앓게 되나 보다. 특히 야심과 포부가 큰 청년일수록 제대병을 심하게 앓게 된다는데 두려움과 고민과 설렘으로 밤에 잠도 잘 못 잔다는 영철 동무에 비하면 나는 하루가 일년처럼 느껴진다는 것만 빼면 잠도 잘자고... 내가 별로 야심이 없는 걸까. 얼마 전에는 대학에 추천, 입학할 동무들이 결정됐다. 보통 제대군인 중 대학에 입학하는 사람은 1개 사단에 10명 내외라는데 우리 사단에서도 이번에 9명이 대학 입학자격을 얻었다. 나를 비롯한 나머지는 이제 출신지역 군사동원부에 이첩되어 직장에 배치될 것이다. 규정에는 제대군인의 적성과 전문기술, 그리고 희망직종을 고려하여 1차 고향지역 직장, 2차 고향근접지역 직장, 3차 타도시 직장으로 제대군인을 배치한다고 되어 있다. 나는 어디에 배치되게 될까. 될 수 있으면 고향지역이 되었으면 좋겠다. 가족들 곁에서 생활할 수 있었으면 좋겠는데. 얼른 자리를 잡고 결혼도 해야지. |
|
북의 군관선발제도 |
북의 군관선발제도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뤄진다. 먼저 3년 이상 복무한 일반 전사들 중에서 우수한 자를 뽑아 군관 학교 교육을 이수시키는 일반군관제도가 있고, 중학교 졸업생 중에서 출신성분과 당성 그리고 체격과 체력이 우수한 자를 뽑아 정규 군관학교 과정을 이수시킨 후 소위로 임관시키는 신임군관제도가 있다. 다음으로 당·정·군 고위 간부들 자제 중에서 우수한 자를 뽑아 소정의 과정을 이수시킨 후 임관하는 정치군관제도가 있다. 특수병과의 부족한 군관을 보충하기 위해 현지에서 우수한 대상자를 뽑아 바로 임관시키는 직발군관제도와 군의, 사법 등 전문성을 지닌 특수 민간인을 군관으로 임관시키는 발탁군관제도와 대학생 예비역 군관제도 등도 병용된다. 임관교육은 군종별, 병과별(보병, 통신, 공병 등), 군관별(정치군관, 군사군관 등)에 따라 4년, 3년, 2년, 1년, 6개월 과정으로 갈라진다.
|
|
인민군의 계급 |
북 인민군의 계급은 서방국가는 물론 다른 공산국가들과도 다르다. 장교는 원수급, 장령급(장성급), 좌관급(영관급), 위관급 등으로 나눠지고 사병은 하사관급과 전사급으로 나눠진다. 원수급은 북 고유의 군사계급으로서 차수→원수→대원수의 3단계로 되어 있으며 장령급은 소장→중장→상장→대장 등 4단계로 되어 있다. 좌관급과 위관급도 서방국가가 사용하는 3단계 계급과는 달리 소좌→중좌→상좌→대좌 등 4단계로 되어 있다. 사병은 하사관급에서는 하사, 중사, 상사, 특무상사 등으로 4단계로 되어 있으나 전사급은 전사와 상등병 등 2단계로 되어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