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내년 한일협정 60년을 맞아 새로운 한일관계 선언을 하겠다고 공공연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그러나 역사, 영토, 기업까지 일본에 바치는 윤석열 정부의 대일외교 기조가 변하지 않는 한, 굴욕적 한일협정 60년을 맞이하게 될 것은 너무도 자명합니다.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과 뜻있는 국회의원들의 공동주최로 윤석열 정부의 대일굴욕외교 극복을 위한 과제를 모색하는 토론회를 개최했습니다.
1965 한일협정 59년 토론회
<윤석열 정부, 대일굴욕외교 극복을 위한 과제>
- 일시: 2024년 6월 19일(수) 15시~
- 장소: 국회 의원회관 제1간담회의실
- 주최: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박홍근, 이재정, 이수진, 이재강, 김용만, 김준혁 국회의원,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 김준형 국회의원, 진보당 윤종오 원내대표, 전종덕, 정혜경 국회의원
❏ 프로그램
- 국회의원 개회사,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공동대표 개회사
- 발표 / 1965년 한일협정과 60주년의 과제
❍ 발표1. 남기정(서울대 일본연구소 교수) / 한일관계 현황으로 본 한일협정과 ‘신한일관계 선언’의 문제
❍ 발표2. 김창록(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한일 과거청산: 지연된 역사정의, 확장되는 부정의
- 토론 / 한일 역사정의와 평화를 위한 과제
1. 이국언(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사장) & 김영환(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 / 제3자변제, 사도광산 등 일제 강제동원 문제의 현황과 과제
2. 이나영(일본군성노예제문제해결을위한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중앙대 교수)/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현황과 과제
3. 함재규(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부위원장) / ‘라인야후’ 사태와 기술 주권
4. 최상구(지구촌동포연대(KIN) 대표) / 재일동포 교류와 조선학교 문제
5. 이연희(겨레하나 사무총장) /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과 한-일 군사협력의 문제
6. 주제준(전국민중행동 정책위원장) / 국회-시민사회 공동대응 방향
[자료집 보기] https://www.krhana.org/data/document/page/1/post/273
윤석열 대통령이 내년 한일협정 60년을 맞아 새로운 한일관계 선언을 하겠다고 공공연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그러나 역사, 영토, 기업까지 일본에 바치는 윤석열 정부의 대일외교 기조가 변하지 않는 한, 굴욕적 한일협정 60년을 맞이하게 될 것은 너무도 자명합니다.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과 뜻있는 국회의원들의 공동주최로 윤석열 정부의 대일굴욕외교 극복을 위한 과제를 모색하는 토론회를 개최했습니다.
1965 한일협정 59년 토론회
<윤석열 정부, 대일굴욕외교 극복을 위한 과제>
- 일시: 2024년 6월 19일(수) 15시~
- 장소: 국회 의원회관 제1간담회의실
- 주최: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박홍근, 이재정, 이수진, 이재강, 김용만, 김준혁 국회의원,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 김준형 국회의원, 진보당 윤종오 원내대표, 전종덕, 정혜경 국회의원
❏ 프로그램
- 국회의원 개회사,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공동대표 개회사
- 발표 / 1965년 한일협정과 60주년의 과제
❍ 발표1. 남기정(서울대 일본연구소 교수) / 한일관계 현황으로 본 한일협정과 ‘신한일관계 선언’의 문제
❍ 발표2. 김창록(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한일 과거청산: 지연된 역사정의, 확장되는 부정의
- 토론 / 한일 역사정의와 평화를 위한 과제
1. 이국언(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사장) & 김영환(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 / 제3자변제, 사도광산 등 일제 강제동원 문제의 현황과 과제
2. 이나영(일본군성노예제문제해결을위한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중앙대 교수)/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현황과 과제
3. 함재규(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부위원장) / ‘라인야후’ 사태와 기술 주권
4. 최상구(지구촌동포연대(KIN) 대표) / 재일동포 교류와 조선학교 문제
5. 이연희(겨레하나 사무총장) /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과 한-일 군사협력의 문제
6. 주제준(전국민중행동 정책위원장) / 국회-시민사회 공동대응 방향
[자료집 보기] https://www.krhana.org/data/document/page/1/post/273